본문 바로가기

Chinese (Simplified)Chinese (Traditional)EnglishJapaneseKoreanSpanish
커피에 대한 상식

커피녹병, 한 번 걸리면 끝장나는 커피나무의 불치병

목차

    반응형

    커피녹병이란?

    인간에게 암, 에이즈와 같은 무서운 질병이 있다면 커피나무에게는 '커피녹병'이라는 최악의 병이 있다. 남미에서는 커피녹병을 로야(Roya)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Coffee Leaf Rust, CLR이라는 용어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우리나라 말로는 커피 녹병) 커피녹병은 병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Leaf, 즉 나뭇잎에 Rust, 녹이 슨다는 의미이다. 커피녹병에 걸리게 된 커피나무의 나뭇잎은 녹이 슨 것처럼 노랗게 변해 시들게 하고 시든 나뭇잎이 떨어지며 커피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커피녹병에 걸려 노랗게 변색된 나뭇잎
    커피녹병 CLR에 걸린 커피나무의 나뭇잎

    커피 녹병이 발생하는 환경

    커피 녹병은 헤밀레이아 바사트릭스 (Hemileia Vasatrix)라는 곰팡이 균이 원인인 병으로 이 곰팡이 균은 적당히 따뜻한 온도와 높은 습도가 유지되면 더 잘 생기고 전파된다. 커피의 주요 생산지가 모두 저위도에 위치한 국가들인 것을 감안하면 대부분의 국가들이 커피녹병이 발생하기 매우 좋은 환경에 있다.

     

     

     

    헤밀레이아 바사트릭스 곰팡이균
    Hemileia Vasatrix 곰팡이을 확대한 사진

     

    특히 커피녹병은 19세기 말 스리랑카를 휩쓸며 커피로 유명했던 스리랑카에서 커피 생산이 불가능해졌다. 커피녹병 사태 이후 스리랑카에서는 실론 티를 주로 생산하기 시작했고 실론티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전화위복이 되기도 했다.

     

     

    또한 2010년대 초중반 중남미 지역을 휩쓸며 커피농사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공포로 다가왔다. 당시 중남미 지역에는 평소 강수량의 두 배에 가까운 약 4,000mm의 비가 쏟아졌고 비가 그치고 난 후 강한 열기로 인해 엄청난 수의 커피나무들이 커피녹병에 걸렸다. 중남미 지역은 커피녹병으로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전 세계적으로는 생산량이 늘면서 전체 공급량이 늘어나 커피 가격은 떨어졌다. 2012년에는 과테말라에서 커피녹병으로 인해 수확량의 15%정도가 줄었으며 2013년도에는 25%~30%까지 수확량이 주는 등 중남미 지역에서는 가격과 수확량이 함께 떨어져 이중고를 겪었다. 커피 녹병을 예방하는 비료, 화학물질 등을 개발해왔지만 이는 커피녹병 예방에만 효과가 있을 뿐 일단 걸리게 되면 치료가 전혀 불가능해 거의 100%확률로 죽는다고 한다. 그래서 커피 녹병을 '커피 암(Coffee Cancer)'이나 '커피 에이즈'(Coffee AIDS)라고 부르기도 한다.

     

     

    커피녹병에 일단 걸리고 나면 할 수 있는 일은 나무의 가지를 뿌리 쪽 까지 모두 잘라낸 후 다시 자라 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다고 한다. 특히 가장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아라비카 품종이 커피녹병에 매우 취약하다. 로부스타도 커피녹병에 취약하긴 하지만 아라비카보다는 조금 더 면역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s://coffeeskin.tistory.com/3

     

    아라비카 로부스타의 차이 비교, 커피 원두의 식물학적 분류

    커피는 식물학적으로 꼭두서니과 -> 코페아속 -> 아라비카종 -> 티피카품종 / 버번(=부르봉) 품종 -> 카네포라종 -> 로부스타 품종 으로 분류할 수 있다. 꼭두서니과에는 500가지가 넘는 속이 포함되

    coffeeskin.tistory.com

     

    반응형